caddie.co.kr [삼강행실도] 삼강행실도의 문헌적 특징과 국어사 資料로서의 특징 > caddie7 | caddie.co.kr report

[삼강행실도] 삼강행실도의 문헌적 특징과 국어사 資料로서의 특징 > caddie7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caddie7

[삼강행실도] 삼강행실도의 문헌적 특징과 국어사 資料로서의 특징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24 03:07

본문




Download : 20032m_kukoasaD.hwp




여기 수록된 그림들은 조선시대 판화의 주류를 형성하는 삼강오륜 계통의 판화들에 큰 influence을 끼쳤다. 그 후…(To be continued )



20032m_kukoasaD_hwp_01.gif 20032m_kukoasaD_hwp_02.gif 20032m_kukoasaD_hwp_03.gif 20032m_kukoasaD_hwp_04.gif 20032m_kukoasaD_hwp_05.gif 20032m_kukoasaD_hwp_06.gif



Download : 20032m_kukoasaD.hwp( 42 )



순서
레포트/기타

삼강행실도의특징,,국어사,자료로서의삼강행실도,삼강행실도,기타,레포트

Ⅰ.서론, , Ⅱ. 본론, 1. 서지적 검토, 2. 삼강행실도의 특징 , 3. 국어사 資料로서의 삼강행실도, , Ⅲ. 結論(결론), , 참고문헌, , 내려받기 : 44K
Ⅰ.서론, , Ⅱ. 본론, 1. 서지적 검토, 2. 삼강행실도의 특징 , 3. 국어사 자료로서의 삼강행실도, , Ⅲ. 결론, , 참고문헌, , FileSize : 44K , [삼강행실도] 삼강행실도의 문헌적 특징과 국어사 자료로서의 특징기타레포트 , 삼강행실도의특징 국어사 자료로서의삼강행실도 삼강행실도




설명


[삼강행실도] 삼강행실도의 문헌적 특징과 국어사 資料로서의 특징
다.


Ⅰ.서론

Ⅱ. 본론
1. 서지적 검토
2. 삼강행실도의 특징
3. 국어사 자료(data)로서의 삼강행실도

Ⅲ. 結論

bibliography


내용은 삼강행실효자도(三綱行實孝子圖)·삼강행실충신도(三綱行實忠臣圖)·삼강행실열녀도(三綱行實烈女圖)의 3부작으로 이루어져 있다아 효자도에는 <순임금의 큰 효성(虞舜大孝)>을 비롯하여 역대 효자 110명을, 충신도에는 <용봉이 간하다 죽다(龍逢諫死)> 외에 112명의 충신을, 열녀도에는 <아황·여영이 상강에서 죽다(皇英死湘)> 외에 94명의 열녀를 introduction하고 있다아 각 사실에 그림을 붙이고 한문으로 설명(explanation)한 다음 7언절구(七言絶句) 2수의 영가(詠歌)에 4언일구(四言一句)의 찬(贊)을 붙였고, 그림 위에는 한문과 같은 뜻의 한글을 달았다. 〈삼강행실도〉의 그림에는 당시 유명한 화가인 안견(安堅)·최경(崔涇)·안귀생(安貴生) 등이 참여한 것으로 보인다.
전체 6,752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caddie.co.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