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의약개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28 17:39본문
Download : 의약개론.hwp
순환혈장의 양을 줄여서 혈압을 낮추나 혈장량은 그 후 회복되므로 그 이후의 혈압강하의 기전은 자세히는 알려져 있지는 않으나…(생략(省略))
의약개론
Download : 의약개론.hwp( 74 )
의약개론
다.
▶ 혈압 강하제
혈압강하제는 이뇨제, 베타차단제, 교감신경억제제, 혈관확장제, 칼슘길항제, 안지오텐신전환효소억제제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과거에는 이뇨제, 교감신경억제제, 혈관확장제가 고혈압치료의 주축을 이루었으나 최근 약 20년 동안에 베타 -차단제, 칼슘길항제, 안지오텐신전환효소억제제들이 개발되어 고혈압 치료제로 널리 쓰이고 있다 고혈압치료에서 일차로 쓰는 약의 개념(槪念)도 많이 바뀌어서 과거에는 일차약으로 이뇨제와 교감신경억제제가 많이 쓰이고 이에 반응하지 않는 경우에는 혈관확장제가 많이 쓰였으나 베타-차단제, 칼슘길항제, 안지오텐신 전환효소억제제와 같은 새로운 혈압약이 효과(效果)가 우수하고 부작용이 별로 없음이 알려지면서 고혈압환자의 일차약으로 많이 쓰이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고혈압환자가 대부분 고령이고 동반질환이 있는 경우가 많으므로 의사와 상의하여 약제를 선택해야 한다. 고혈압은 대부분 증상이 없으므로 진단을 위해서는 수축기 혈압과 확장기 혈압을 observe하게 된다 고혈압 기준은 나이, 성별, 인종에 따라 조금씩 변하나 일반적으로 다음의 세계 보건 기구의 혈압 판정 기준에 의한다.
의약개론,의약보건,레포트
의약개론 , 의약개론의약보건레포트 , 의약개론
레포트/의약보건






순서
설명
20003116
화 학 과
김 승 민
의약개론
1.혈압강하제
2.항우울제
3.향진균제
4.감염증
5.약전
혈압강하제
병적인 고혈압을 하강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의약품. 강압제 라고도 함.
▶ 고혈합의 定義(정의)
혈압이란 심장에서 보내진 혈액이 혈관 내를 흐를 때 혈관 벽에서 받는 압력을 의미하며 이압력이 정상에 비해 항상 높은 상태를 고혈압이라고 한다.
1. 이뇨제 (diuretics)
이뇨제는 수분과 염분을 신장을 통해서 체외로 배설하는 것을 촉진하는 약이다. 고혈압의 약 90%는 요인을 알 수 없어 본태성 고혈압이라고 하며 다른 요인 질환에 의해서 생긴 약 10%의 고혈압을 이차성 고혈압이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