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POP,엔터테이먼트산업,한류문화,연애마케팅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12 06:23
본문
Download : K-POP,엔터테이먼트산업,한류문화,연애마케팅.pptx
카라가 모델로 활동하기 전 2xxx년 상반기 판매액은 23억원. 광고 계약이 알려진 2xxx년 7월부터 브랜드 인지도가 큰 폭으로 올랐고, 8월 광고가 처음 되면서 판매가 급증. 하반기 전체 판매액은 489억원으로 상반기 대비 21배나 폭증.
_SLIDE_8_
K-pop이 SNS 등 디지털 미디어를 타고 아시아를 넘어 유럽,중남미 등 전 세계로 확산되고 있음.
방송콘텐츠 수출: 08년 1억 7,134만 달러 → 10년 2억 2,863만 달러(33.4% 증가)
음악콘텐츠 수출: 08년 1,646만 달러 →10년 8,32…(생략(省略))
K-POP,엔터테이먼트산업,한류문화,연애마케팅
K-POP,엔터테이먼트산업,한류문화,연애마케팅
다.






설명
K,POP,엔터테이먼트산업,한류문화,연애마케팅,경영경제,레포트
K-POP,엔터테이먼트산업,한류문화,연애마케팅 , K-POP,엔터테이먼트산업,한류문화,연애마케팅경영경제레포트 , K POP 엔터테이먼트산업 한류문화 연애마케팅
순서
레포트/경영경제
Download : K-POP,엔터테이먼트산업,한류문화,연애마케팅.pptx( 39 )
_SLIDE_1_
K-POP, 이대로 괜찮은가
_SLIDE_2_
클론
중화권 진출
1997년
HOT중국(中國) 진출
1999년
2002년
JTL CCTV&MTV
2006년~
동방신기
일본 진출
2xxx년
카라
일본 진출
오리콘 차트 5위
2xxx년~
한국 아이돌
유럽 진출
싸이
강남스타일 열풍
K-POP의 역싸
_SLIDE_3_
K-POP이 인기 있는 이유
콘텐츠의 높은 완성도
SNS등 디지털 미디어의 활용
한국 아이돌만의 비쥬얼과 군무
콘텐츠의 국제화 지향성
_SLIDE_4_
K-POP의 행태
_SLIDE_5_
K-POP은 文化(문화), 관광, 유통 업종 등의 기업들의 매출 증대 이바지
K-POP의 경제적 가치
국가 브랜드, 이미지 제고
한국관련 제품 선호도 상승
지역경제 활성화에 따른 고용의 증가
판권으로 인한 외화획득
_SLIDE_6_
관광 산업
지난해 처음으로 관광객수가 월 90만명을 돌파.
경제적 수익: 한 해 4조원이 넘을 것으로 추산.
4조원이라면 현대 자동차의 쏘나타 24만대 판매 분과 맞먹는 액수의 가치
_SLIDE_7_
예-걸그룹 ‘카라’ 통해 본 한류의 경제파워
일본에서 판매되는 청정원의 ‘마시는 홍초’는 카라를 광고모델로 기용하면서 매출이 폭발적으로 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