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의 궁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09 04:18
본문
Download : 조선의 궁.hwp
근정전의 우람한 자태와 처마곡선은 북악산의 선과 조화.
5. 천추전 …(투비컨티뉴드 )
조선의 궁궐에 대한 資料입니다.
조선의 궁궐에 대한 자료입니다.






1. 광화문 (光化門) : 경복궁의 남문.
- 1395년 태조 4년 건립. 경복궁의 정문으로 왕실과 국가의 권위를 상징적으로 대변. 1926년에 일제의 文化(문화) 말살 정책의 하나로 조선 총독부 청사가 들어서면서 건춘문(建春門)을 북쪽으로 옮겨. 한국전쟁 때 화재로 문루 부분이 소실되어 석축만 남아. 1968년에 석축을 모아 원래 위치로 옮기고 문루(門樓) 부분은 철근 콘크리트로, 현판도 박정희 대통령의 글씨.
2. 흥례문 (興禮門)
- 광화문과 근정문의 남북 중심축선상에 위치. 2층 건물로 상·하층 모두 정면 3칸, 측면 2칸 규모. 근정문과 비슷. 중층 다포계 겹처마 우진각지붕. 동측면의 내부에 이층으로 오르는 목조계단 설치. 다포계 공포.
3. 근정문 (勤政門, 보물 제 812호)
- 흥례문을 지나면 서쪽에서 동편으로 흐르는 어구가 있고 보도에 이어 돌다리 영제교가 있따 그 다음에 이어지는 근정전일정과 행각 중앙에 중문으로 높이 솟은 근정문이 있따 고종 4년에 중건. 정면에서 보면 3칸인데 아래층엔 문얼굴을 내고 큼직한 문짝을 달아 여닫게 하였고, 위층은 사방에 널문을 달아 여닫을 수 있는 시설. 평소엔 문을 닫아 두고 문무반에 따라 동쪽의 일화문과 서편의 월화문을 이용. 현존하는 조선왕궁의 정전 정문 중 유일하게 중층 건물로 남아 있따
4. 근정전 (勤政殿, 국보 제223호)
- 경복궁의 수조정전이며 문무백관의 조하를 비롯한 국가의식을 거행하고 외국 사신을 접견하던 법전. 태조 3년(1394)에 창건. 임진왜란 때 불탄 것을 고종 4년(1867)에 재건. 정종, 세종, 단종, 세조, 성종, 중종, 명종 등 여러 국왕이 이곳에서 즉위. 근정전은 상·하 월대 위에 이층으로 지은 거대한 건물. 건물 내부는 아래 위층의 구분을 없이 하여 넓고 높다.조선의궁 , 조선의 궁공학기술레포트 ,
순서
조선의궁
레포트/공학기술
Download : 조선의 궁.hwp( 23 )
,공학기술,레포트
설명
조선의 궁
다. 중앙에 임금이 좌정하던 어좌가 있따 실내에 가득 의장기물이 장치되어 있었는데 지금은 없다.